안녕하세요 유쾌한 체육부장입니다.
오늘은 플라스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플라스틱의 득과 실
여러분은 플라스틱 제품 많이 쓰시나요?
플라스틱은 가공이 쉽고 가벼우며 내구성이 좋아 일상의 많은 제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격도 싸기 때문에 우리는 플라스틱 제품을 쉽게 사고 쉽게 버리면서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코로나 19 시대를 겪으면서 배달앱과 배달음식이 일상이 되었고 그로 인해 더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저도 재활용 쓰레기를 버리면서 내심 '내가 이렇게 많이 시켜 먹었나' 놀라곤 합니다.
플라스틱은 자연분해가 되지 않아 매립해도 오랫동안 썪지 않고 그대로 남아 토양을 오염시킵니다. 소각을 해도 완전히 연소되지 않고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2차적인 오염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처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재활용을 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플라스틱의 종류와 재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라스틱 재활용 숫자
플라스틱 용기에는 재활용을 의미하는 세모표시와 그 가운데 적혀있는 숫자가 있습니다. 이 숫자를 이용해서 플라스틱 종류와 재활용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숫자는 1~7까지 있는데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PE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 재활용 가능
먼저 'PET', '페트'로 많이 불리는 1번 플라스틱 PETE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졌습니다. 보통 생수병이나 음료수병으로 쓰이고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플라스틱 종류입니다. PETE는 독성에 매우 강하지만 세균 번식에 취약하기 때문에 용기를 여러 번 사용하기보다 한 번만 사용하고 분리 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2.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 Density Polyethylene) : 재활용 가능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2번 플라스틱은 화학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합니다.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열에 강해서 소독을 자주 해줘야 하는 젖병, 유아용 장난감, 세제 용기 등에 쓰입니다. 전자레인지 사용도 가능해 반찬통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3. PVC (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 재활용 일부 불가
3번 플라스틱인 폴리염화비닐은 염소와 탄소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고분자 플라스틱입니다. 소재가 유연하고 부드러워서 원하는 모양을 쉽게 만들 수 있고 색을 내기 쉬워 다양한 생활용품으로 사용됩니다. 우비, 신발, 가방, 전선 등 패션아이템에서 산업용품까지 그 쓰임새가 많습니다. 열에 약해서 열을 가하면 환경호르몬과 독성가스를 방출합니다. PVC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PVC에 함유된 염소를 제거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한데 국내에는 없어서 재활용이 일부 불가능합니다.
4.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ow Density Polyethylene) : 재활용 가능
4번 플라스틱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입니다. 2번 플라스틱인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이 화학성분을 거의 배출하지 않습니다. 유연하고 투명하여 비닐봉지, 위생장갑 등 투명한 제품을 만드는 데 쓰입니다. 우리가 많이 쓰는 스마트폰 필름도 LDPE로 만들어집니다. 과거에는 재활용이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화학적 재활용(CR : Chemical Recycling) 열분해 기술이 개발되어 산업용 연료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습니다.
5. PP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 재활용 가능
5번 폴리프로필렌은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합쳐서 만들어지는 플라스틱입니다.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은 고온에서도 강하기 때문에 주방 조리 도구나 자동차 내장재, 텀블러나 반찬통으로 많이 쓰입니다. 가장 안전한 플라스틱으로 의료장비/부품 또는 보건용 마스크로도 사용됩니다.
6. PS (폴리스티렌 Polystyrene) : 재활용 가능
6번 폴리스티렌은 벤젠과 스티렌을 합쳐서 만들어지는 플라스틱입니다. 무게가 가벼워 휴대성이 좋고, 맛과 냄새가 없어 요구르트병, 일회용 숟가락 등으로 사용됩니다. 전자레인지를 사용하거나 열을 가하면 쉽게 녹고 발암 물질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폴리스티렌도 과거에는 재활용이 불가능했으나 최근에 화학적 재활용 기술이 개발되어 재활용이 가능해졌습니다.
7. Other (기타) : 재활용 불가능
7번 플라스틱은 1~6 숫자를 제외한 모든 플라스틱입니다. 2가지 이상의 재질이 합성된 플라스틱으로 주로 건축 외장재나 안경, 스마트폰 케이스 등에 쓰입니다. 활용도가 다양하지만 안전성을 판별하기 힘들고, 정확한 재질을 알 수 없어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생활 속 작은 실천 ; 생수 사기보다 물통 챙기기
이렇게 플라스틱의 종류와 그에 따른 재활용 가능여부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쉽고 편하게 일상의 모든 부분에서 쓰이는 플라스틱이지만 세계 곳곳에 쌓여가는 플라스틱 산과 태평양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섬을 보고난 후부터는 마음 편하게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우리 아들, 딸들이 살아갈 지구를 위협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적게 사기
먼저 가격이 싸다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플라스틱 제품을 구매하고 버리는 행위를 멈출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제품을 구매할 때 지금 보신 이 글이 생각나셔서 구매를 한번 더 생각해주신다면 그것만으로도 환경에 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2.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인지 확인하기
여러번 고심하고 꼭 필요한 플라스틱 제품을 사야 한다면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인지 확인을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재활용이 되지 않는 Other와 같은 플라스틱이라면 유리나 나무 등 다른 재질로 되어있는 제품은 없는지 찾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작지만 한 명 한 명의 노력이 모인다면 그 결과는 결코 작지 않을 것이라고 믿으면서, 오늘도 생수를 사서 마시기보다는 물통을 챙기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